믿을 건 역시 '금' 인건가? '골드 러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휘청이는 가운데
‘금(金) 테크’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장 믿을 만한 수단은 역시 금인 것인가요?
3월 27일 뉴욕상품거래소의 금값은
전일 대비 1.58%(26.20달러) 하락한
온스(31.1g) 당 1625.0달러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투자심리 자체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금값도 올해 최고점을 기록한
3월 9일(1674.5달러)에 비해 다소 떨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 전과 비교하면 24% 이상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 하나인 금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때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코로나19가 전방위로 확산함에 따라
금 가격은 연일 급등세를 이어갔는데요.
국내 금값 시장을 보면,
한국거래소 금시장의 금 현물 1g 가격은
3월 27일 6만3581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같은 날(4만8066원)과 비교하면 32.3% 오른 수준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산하면서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간 덕분에
금 투자자들은 올해도 짭짤한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지난해 말 금을 사둔 투자자는 두 자릿수 수익률을 올린 셈입니다.
자금이 위험자산 시장에서 안전자산 시장으로 이동하는 '머니 무브' 현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안전자산 강세 현상은 당분간 유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저금리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채권 수익률이 낮아진 만큼
안전자산 중에서도 금의 투자 매력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역시, 믿을 건 금인 건가요?
달러 투자, 채권투자, 정기예금에 가입한 투자, 주식 투자 등의 수익률이 저조하면서
요즘 투자자들의 금테크에 대한 관심이 계속 커져가는 것 같습니다.